2021년 마지막 면접
2021. 12. 14. 04:13
제이로그/회고
연이은 서류 불합격에 너덜너덜해진 어느 날 나에게 면접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정해진 면접은 culture fit 1시간과 tech 1시간으로 총 2시간 정도 진행하기로 했다. Culture fit 1시간 Tech 1시간 지난주 금요일에 연락을 받았고 내 근무는 화요일 아침에 끝났고 면접은 목요일과 금요일로 예정되어 있었다. 일주일 더 미룰 수 있었지만 기업 측에서 빠른 시일 내에 면접을 보고 싶어 했고 나는 어차피 쉬는 날이었기에 흔쾌히 수락했다. 면접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은 생각보다 많지 않았는데 짧은 시간 내 많은 것들을 준비해야 했다. 이직을 하려고 준비하고 있었지만 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마음이 급했던 것 같다. 물론 미리 준비를 안한 내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드..
14. Vagrant 가상 머신을 통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만들기 - 끝!
2021. 12. 2. 05:24
DevOps/kubernetes
처음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만들어볼 때에는 서버 하나 하나 만들고 설정하고 패키지 설치하고 정말 많은 시간이 걸려서 만들었던 것 같다. 이번에는 Vagrant 로 만들어보았지만 사실 적지 않은 시간이 걸렸던 것 같다. 두 가지 방법을 통해 만들어보면서 가장 많이 느낀 점은 환경에 따라 많은 부분이 달라지고 또 많은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직접 만들 때에는 없었던 에러들이 vagrant 를 사용해서 만들 때 생기거나 추가로 설정해주어야 하는 부분이 생기거나 다르게 설정해주어야 하는 부분이 생기는 등 많은 부분에서 시행착오를 겪었던 것 같다. 특히 가상 머신 사이의 통신 문제때문에 정말 많은 시간을 들였던 것 같다. 열심히 찾아도 잘 모르겠고 제대로 해결되지도 않고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감도 오지..
13.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노드 설정을 위한 스크립트 작성 및 적용
2021. 12. 2. 04:56
DevOps/kubernetes
이제 마스터 노드 1개와 워커 노드 2개의 서버가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고 스크립트를 통해 초기에 설정해야하는 부분을 서버를 올리면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만들 예정이다. 스크립트에 넣을 내용은 간단하다. 수동으로 했던 내용들을 모든 노드에 적용될 내용과 각 노드 별로 적용될 내용의 스크립트로 작성한다. 만든 스크립트를 VagrantFile 에 추가한 뒤 vagrant up 명령을 통해 실행시켜주면 된다. 실행이 잘 되었다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노드들이 잘 올라왔는지 그리고 명령어들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면 된다. 추가) 스크립트는 github 에 올려놓았다. https://github.com/jaynamm/k8s-cluster-vagrant GitHub - jaynamm/k8s-cluster-vagra..
12. Vagrant 가상 머신을 통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만들기 - 중간 점검
2021. 12. 2. 04:30
DevOps/kubernetes
지난 번 나는 vagrant 를 사용해서 VirtualBox 가상 머신을 만들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만들어보기로 했었다. 1. vagrant 설치 - 처음에 vagrant 를 사용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미리 설치해두었다. 2. vagrant init 명령을 통해 VagrantFile 생성 3. 만들 3개의 가상 머신 자원(CPU, Memory 등) 및 네트워크 설정 4. 노드 접속 되는지 접속 확인 - 중간 점검 5. 각 노드에 적용할 스크립트 만들기 -> 기존에 하나씩 실행했던 내용들 복붙, 필요한 부분 추가 6. VagrantFile 에 스크립트 추가해 실행해보기 7. 설정 잘 되어있는지 접속해서 확인하기 8. 클러스터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이렇게 대충 적어놓았던 과정들 지금까지 한 내용에 대해서..
11. VagrantFile 을 통해 VirtualBox 가상 머신 생성
2021. 12. 2. 04:29
DevOps/kubernetes
우선 진행하기 앞 서 미리 말했듯이 맥북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우선 vagrant 와 VirtualBox 는 미리 설치해두었다. 설치하는 부분은 윈도우와 같이 어렵지 않으니까 쉽게 설치할 수 있었고 물론 버전에 따른 이슈가 조금 있긴 했지만 찾아보면서 잘 실행되도록 준비를 마친 상태다. 따라서 현재 VirtualBox 와 Vagrant 설치 환경은 이렇다. VirtualBox Version - 6.1.26 Vagrant Version - Vagrant 2.2.18 그리고 에디터는 Visual Studio Code 를 사용할 예정이다. VagrantFile 을 통해 VirtualBox 가상 머신 생성 요약 정리 1. VagrantFile 생성 vagrant init 2. Vagrant Box 설정 Vagr..
Git login error -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Please use a personal access token instead.
2021. 12. 2. 00:00
버전관리/git & github
github 에 repository remote 하고나서 push 하려고 했더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 git push origin master Logon failed, use ctrl+c to cancel basic credential prompt. Username for 'https://github.com': jaynamm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Please use a personal access token instead. remote: Please see https://github.blog/2020-12-15-token-authentication-requirements-for-..
Vagrant up error for Mac OS - Stderr: VBoxManage: error: The virtual machine 'vagrant_test_default_1638356444374_40271' has terminated unexpectedly during startup because of signal 10
2021. 12. 1. 20:32
시스템/Virtual Machine
vagrant 로 가상머신을 만드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했다. 이전에는 잘 되었는데 Mac OS 를 Moterey 로 업그레이드 하고나서 안되는 것 같은 기분이 ㅎㅎ..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서 vagrant up이 되지 않았다. # vagrant up Bringing machine 'default' up with 'virtualbox' provider... ==> default: Importing base box 'centos/7'... ==> default: Matching MAC address for NAT networking... ==> default: Checking if box 'centos/7' version '2004.01' is up to date... ==> default: Set..
VirtualBox 호스트 네트워크 오류 (Mac OS Monterey)
2021. 11. 24. 20:52
시스템/Virtual Machine
간만에 vagrant 로 virtualBox 가상 머신을 생성하려고 하는데 호스트 네트워크와 관련된 오류가 발생했다. 그래서 직접 VirtualBox 에서 호스트 네트워크를 생성해보려고 했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불어오는 동안 에러가 발생했고 /dev/vboxnetctl 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내용 같았다. 일단 이 내용으로 어떻게 해결해야하는지 찾아봐야겠다. 이전에 맥북이 Big sur 로 업데이트 하면서 이런 이슈가 발생한 것을 본 적이 있는데 나도 이번에 Monterey 로 업데이트하면서 이런 이슈가 발생한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업데이트를 했기 때문에 일단은 찾아보는 수 밖에 1. VirtualBox 보안 허용 맥북에서 [시스템 환경설정] - [보안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