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시스템 재시작 로그 확인
2021. 11. 18. 14:31
리눅스/Linux
리눅스 서버에서 시스템이 언제 재시작 되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last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last 명령어와 lastlog 명령어에 대해서 헷갈릴 수도 있다. last 명령어는 /var/log/wtmp 로그를 통해 사용자의 성공한 로그인/로그아웃 정보와 시스템 부팅 정보를 보여준다. lastlog 명령어는 /var/log/lastlog 가장 최근에 성공한 로그인 기록을 보여준다. 따라서 last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 부팅 정보를 확인해보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last reboot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언제, 누가 부팅했는지 알 수 있다. 누군가에 의해 부팅된 게 아닌 커널에 의해 부팅된 경우 누군가 명령어로 시스템을 부팅한 게 아닌 시스템 자체적으로 부팅되었다고 생각하면 된..
10. Vagrant 가상 머신을 통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생성해보기 (시작하기 전 잡담)
2021. 10. 15. 17:02
DevOps/kubernetes
VirtualBox 가상 머신을 통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씩 설정해가며 만들어보았다. 가상 머신을 만들기 전에 CPU, 메모리 등 서버 자원을 설정해주었고 가상 머신을 만들고 나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만들기 위한 리소스들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필요한 부분들을 설정해주어 클러스터가 잘 작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었다. 그렇게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 2개를 만들었고 kubeadm 을 통해 나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라는 것을 구축해보았는데 생각보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안 되는 부분을 하나씩 찾아가며 해봤기 때문에 쿠버네티스와 조금 더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물론 모르는 부분도 정말 많았고 알아야하는 부분도 그냥 건너뛴 것도 정말 많다. 그렇기 때문에 공부해야할..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aAza%2Fbtre9F81rws%2FKnhAIUvOMeDts8dUYYoEt0%2Fimg.png)
9.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설치 및 설정하기
2021. 9. 15. 17:27
DevOps/kubernetes
쿠버네티스 대시보드를 통해 쿠버네티스 노드나 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다. 하지만 대시보드를 사용하게 되면 모든 권한흘 해제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대시보드에서 클러스터의 모든 오브젝트들을 조회, 수정, 삭제가 가능하다. 그래서 보안상 권장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점들을 주의하고 대시보드를 설치하고 실행해보자. >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documents https://kubernetes.io/ko/docs/tasks/access-application-cluster/web-ui-dashboard/ 웹 UI (대시보드) 대시보드는 웹 기반 쿠버네티스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대시보드를 통해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배포할 수 있고,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을 트러블슈팅할 수 kubernet..
리눅스 네트워크 확인 명령어 정리
2021. 9. 12. 20:06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네트워크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를 정리해봤다. 일단 네트워크가 이상 없는지 확인할 때 주로 ping, netstat, traceroute 등 많은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를 확인한다. ping (Packet INternet Groper)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때 정말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다. ping 명령어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목적지까지 네트워크가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다. 그래서 ping 명령어를 통해 서버로 패킷이 잘 보내지는지 확인해 서버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한다. 잘 작동중이던 서버에 패킷이 가지 않는다면 보통 서버에 hung 이 걸려 다운되거나 다운되기 직전의 상황일 것이다. ping 명령어는 이렇게 사용한다. # ping [옵션] [목적지 IP 주소] [옵션] ..
centos7 네트워크 설정 파일 - ifcfg 파일
2021. 9. 12. 19:12
리눅스/Linux
네트워크 설정 파일 위치 /etc/sysconfig/network-scripts 확인하기 위해 가상 머신에 올려놓은 centos 7 서버에 접속해서 네트워크 설정 파일인 ifcfg 파일을 확인해봤다. [root@centos7 network-scripts]# cat ifcfg-eth1 #VAGRANT-BEGIN # The contents below are automatically generated by Vagrant. Do not modify. NM_CONTROLLED=yes BOOTPROTO=none ONBOOT=yes IPADDR=192.168.1.10 NETMASK=255.255.255.0 DEVICE=eth1 PEERDNS=no #VAGRANT-END 설정할 수 있는 여러 항목들이 나오는데 정확히 ..
8. 쿠버네티스 자동완성 기능 설정하기
2021. 8. 29. 04:10
DevOps/kubernetes
리눅스에서 보통 글자를 입력하고 TAB 을 치게 되면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가 완성된다. 쿠버네티스 명령어인 kubectl 을 사용하면 TAB 을 통해 자동완성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ku 하고 TAB 하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자동 완성 기능을 설정해보려고 한다. 쿠버네티스 자동 완성 기능과 관련된 글들은 정말 많기 때문에 여러 블로그를 참고하면 된다. 그리고 쿠버네티스에서도 자동완성과 관련된 문서를 제공해주고 있다. https://kubernetes.io/ko/docs/tasks/tools/included/optional-kubectl-configs-bash-linux/ 리눅스에서 bash 자동 완성 사용하기 리눅스에서 bash 자동 완성을 위한 몇 가지 선택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k..
7.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네트워크 플러그인 cailco 설치 및 적용하기
2021. 8. 29. 03:42
DevOps/kubernete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CNI) 도 같이 구성해야 한다고 한다. 그 중에서 나는 컨테이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인 Calico 를 적용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려고 한다. 일단 마스터노드에서 현재 pod 상태를 전부 확인해보면 [root@k8s-master ~]# kubectl get pod --all-namespaces NAMESPAC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kube-system coredns-78fcd69978-fzpb2 0/1 Pending 0 26m kube-system coredns-78fcd69978-pmfnb 0/1 Pending 0 26m kube-system etcd-k8s-master 1/1 Running 0 26m..
6.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워커 노드 설정하기
2021. 8. 29. 03:26
DevOps/kubernetes
마스터 노드를 설정했으니 이제 워커 노드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쿠버네티스 워커 노드 설정 요약 정리 1. 쿠버네티스 실행 systemctl enable --now kubelet 2. kubeadm 마스터 노드 연결 kubeadm join 10.0.2.10:6443 --token [token] \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 hash] 3. 마스터 노드에서 연결된 워커 노드 확인 kubectl get nodes 1. 쿠버네티스 실행 마스터 노드와 마찬가지로 쿠버네티스를 실행시켜줘야 한다. [root@k8s-worker1 ~]# systemctl enable --now kubelet Created symlink from /etc/systemd/system/mul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