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마스터 노드 설정하기
2021. 8. 29. 03:15
DevOps/kubernetes
이제 쿠버네티스 클러스 마스터 노드를 설정할 차례다. 나는 kubeadm 를 사용해 클러스터를 만들어볼 생각이고 앞서 각 노드별 기본 설정과 필요한 것들을 설치했다. 쿠버네티스 마스터 노드 설정 요약 정리 1. 쿠버네티스 실행 systemctl enable --now kubelet 2. kubeadm 초기화 설정하기 kubeadm init --pod-network-cidr=10.244.0.0/16 --apiserver-advertise-address=10.0.2.10 mkdir -p $HOME/.kube sudo cp -i /etc/kubernetes/admin.conf $HOME/.kube/config sudo chown $(id -u):$(id -g) $HOME/.kube/config 1. 쿠버네티스..
VirtualBox - The VM session was closed before any attempt to power it on
2021. 8. 29. 01:47
시스템/Virtual Machine
가상 머신을 켜니 다음과 같이 세션 에러가 발생하면서 실행이 되지 않았다. 3개 중에 2개까지만 실행되고 나머지 하나는 세션 에러가 났다. 원인으로는 가상 머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아서 그렇다는데 일단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 찾아봤다. VirtualBox 상단 메뉴에서 [머신] - [저장된 상태 삭제] 를 선택하면 된다고 하는데 나는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있는 상태여서 누를 수가 없었다. 다른 분들은 이 방법으로 해결했다고 하는데 이 경우는 하나의 가상 머신을 실행했을 때 세션 에러가 났을 때 해당 사항인 것 같다. 나는 3개의 가상 머신을 동시에 돌려야하기 때문에 세션 에러가 발생한 것 같다. 일단 컴퓨터를 재시작하고 다시 실행해보니 3개가 잘 작동했다. 아무래도 기존에 가상 머신을 껐다 켰다..
4. 가상 머신 복사해서 worker node 만들기
2021. 8. 29. 01:36
DevOps/kubernetes
우선 가상 머신으로 마스터 노드 하나를 만든 후에 기본적인 설정을 다 했다. 이제 워커노드 2개를 만들어야 하는데 처음부터 만드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마스터 노드인 가상 머신을 복제해서 필요한 부분을 수정하려고 한다. 1. 마스터 노드 가상 머신 복제하기 마스터 노드를 클릭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복제] 버튼을 누른다. 그럼 이름과 경로를 수정할 수 있는데 이름을 k8s-worker1 로 수정하고 MAC 주소 정책을 [모든 네트워크 어댑터의 새 MAC 주소 생성] 으로 변경했다. 그런 다음 복제 방식은 완전한 복제를 선택하고 [복제]를 클릭한다. 이렇게 복제가 진행되고 끝나고 가상 머신을 확인하면 된다. 복제 완료 !! 하지만 여기서 완료된 게 아니다. 자원의 여유가 없어 워커노드의..
3.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노드 서버 기본 설정 및 설치
2021. 8. 29. 01:16
DevOps/kubernetes
가상 머신 만들어서 CentOS 까지 설치가 끝났다. 이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위한 노드 기본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데 생각보다 해줄게 많다. 하나씩 해보면서 왜 해주어야 하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노드 기본 설정 요약 정리 1. SELinux 설정 setenforce 0 sed -i 's/^SELINUX=enforcing$/SELINUX=permissive/' /etc/selinux/config sestatus 2. 방화벽 비활성화 - firewalld, NetworkManager systemctl stop firewalld && systemctl disable firewalld systemctl stop NetworkManager && systemctl disable NetworkManager 3. i..
2. VirtualBox CentOS 7 설치 과정
2021. 8. 28. 22:28
DevOps/kubernetes
가상 머신을 만들고 CentOS 7 버전을 설치해야 한다.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1. 언어 설정 : 한국어 2. Disk 설정 - 자동으로 파티션을 구성해도 상관없지만 원하는 파티션을 구성하고 싶다면 파티션 설정을 통해 기존에 구성된 파티션을 제거하고 다시 구성하면 된다. 3. 네트워크 설정 - Host 이름을 k8s-master 로 따로 설정해주었다. - 이더넷을 켜고 [설정] 탭을 클릭 - [일반] 탭에서 사용 가능하면 자동으로 이 네트워크에 연결을 체크한다. - [IPv4 설정] 탭에서 수동 방식으로 선택 - [Add] 버튼을 눌러 원하는 IP 설정을 해주면된다. - 저장하고 완료하면 된다. 4. 설치 시작 클릭 5. ROOT 암호 설정 6.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 한다. 7...
1.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위한 VirtualBox 가상 머신 생성
2021. 8. 28. 21:21
DevOps/kubernetes
가상 머신을 만들기 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하기 위한 노드의 최소 스펙이 필요하다고 한다. - 노드당 메모리 크기 2GB 이상 필요 - 마스터 노드에는 프로세서가 2개 이상 필요 - 클러스터의 모든 시스템 간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 (공용이나 사설 네트워크 가능) - 모든 노드에 대해 고유한 호스트 이름이 있어야 한다. - 스왑 비활성화, kubelet 이 제대로 작동하게 하려면 반드시 스왑을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VirtualBox 를 사용해서 마스터 노드 가상 머신을 만들어보자. 가상 머신을 만드는 과정은 생각보다 쉬울 수도 있는데 처음하다보면 헷갈리는 부분이 정말 많다. 왜 이걸 선택하는지 궁금한 것도 많아지고 이것저것 찾아보다보면 시간이 정말 빠르게 지나간다. 다음으로 가상 머신 만드는 ..
0.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테스트 환경 구축해보기
2021. 8. 28. 20:15
DevOps/kubernetes
혼자서 쿠버네티스 테스트 환경을 만들어보려고 한다. 마스터 노드 1개와 워커 노드 2개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할 예정이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하기에 앞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몇 가지 필요한 것들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했다. 1. VirtualBox + 이후 Vagrant 사용 일단 현재 window 환경이기 때문에 가상 머신을 통해 노드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나는 나중에 vagrant 를 사용해서 3가지 노드들을 한번에 다룰 예정이라 VirtualBox 를 사용하기로 했다. 그래서 VirtualBox 와 Vagrant를 설치했다. - VirtualBox 다운로드 https://www.virtualbox.org/ - Vagrant 다운로드 https://www.vagrantup.com..
리눅스 sed 명령어로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부터 출력하기
2021. 8. 22. 19:44
리눅스/Command
리눅스에서 하나의 문자열을 찾고 다음 문자열까지 출력하고 싶은데 데이터가 복잡하게 엮여있어 쉽지 않아서 찾아보니 sed 명령어를 통해서 원하는 값을 뽑을 수 있었다. 리눅스 sed 명령어를 사용해 1.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 출력 2.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부터 끝가지 출력 3.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부터 다른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까지 출력 할 수 있다. 우선 예를 들기 위해서 텍스트 파일 하나를 만들었다. # cat sed.txt Apple Pear Melon Kiwi Banana Carrot Durian Egg 대충 만든 텍스트 파일을 가지고 놀기ㅎㅎ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 출력하기 Melon이 포함된 라인을 출력하고 싶을 때 ! # sed -n '/Melon/p' sed.txt Mel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