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시스템 재시작 로그 확인
2021. 11. 18. 14:31
리눅스/Linux
리눅스 서버에서 시스템이 언제 재시작 되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last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last 명령어와 lastlog 명령어에 대해서 헷갈릴 수도 있다. last 명령어는 /var/log/wtmp 로그를 통해 사용자의 성공한 로그인/로그아웃 정보와 시스템 부팅 정보를 보여준다. lastlog 명령어는 /var/log/lastlog 가장 최근에 성공한 로그인 기록을 보여준다. 따라서 last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 부팅 정보를 확인해보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last reboot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언제, 누가 부팅했는지 알 수 있다. 누군가에 의해 부팅된 게 아닌 커널에 의해 부팅된 경우 누군가 명령어로 시스템을 부팅한 게 아닌 시스템 자체적으로 부팅되었다고 생각하면 된..
리눅스 sed 명령어로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부터 출력하기
2021. 8. 22. 19:44
리눅스/Command
리눅스에서 하나의 문자열을 찾고 다음 문자열까지 출력하고 싶은데 데이터가 복잡하게 엮여있어 쉽지 않아서 찾아보니 sed 명령어를 통해서 원하는 값을 뽑을 수 있었다. 리눅스 sed 명령어를 사용해 1.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 출력 2.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부터 끝가지 출력 3.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부터 다른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까지 출력 할 수 있다. 우선 예를 들기 위해서 텍스트 파일 하나를 만들었다. # cat sed.txt Apple Pear Melon Kiwi Banana Carrot Durian Egg 대충 만든 텍스트 파일을 가지고 놀기ㅎㅎ 특정 문자가 포함된 라인 출력하기 Melon이 포함된 라인을 출력하고 싶을 때 ! # sed -n '/Melon/p' sed.txt Melon..

리눅스 hostname 변경하기 (centos7)
2020. 10. 12. 16:00
리눅스/Linux
hostname 이란 말 그대로 서버 이름을 말한다. 서버가 여러 개일 경우 헷갈리기 때문에 각 서버의 이름을 따로 정해주어 사용하는게 좋다. 지금 내 hostname 을 확인해보면 root 는 사용자 계정이고 localhost 는 서버의 이름이다. 즉, root 계정으로 localhost 계정으로 접속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버 이름은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다. 1. /etc/hostname 을 확인한다. 2. /etc/hostname 안의 내용을 vi 에디터를 이용해 바꿔준다. localhost.localdomain 을 dev-server 라고 바꿔주었다. 3. 변경된 내용 확인 4. 변경된 hostname 을 적용한다. 5. 재접속 후 변경된 서버 이름 확인 추가적으로, 더 쉬운 방법이 있었다..
리눅스가 설치된 노트북 덮개를 덮어도 안 꺼지는 방법 (CentOS 7)
2020. 9. 25. 13:12
리눅스/Linux
/etc/systemd/logind.conf 설정 파일을 확인해보면 HandleLidSwitch=suspend 부분을 찾을 수 있다. suspend 의 값을 ignore 로 변경해준다. // 변경할 설정파일 vi 편집기로 열기 # vi /etc/systemd/logind.conf // HandleLidSwitch 설정 값 변경 후 저장 HandleLidSwitch=suspend -> ignore 그리고 systemd-logind 서비스 재시작 ! #systemctl restart systemd-logind 그리고 노트북을 덮고나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본다. CentOS 뿐 만 아니라 우분투도 가능하다. - 참고 사이트 - road-fire.tistory.com/entry/CentOS-7-%EB%85%B8..

리눅스 파일 권한 (Permission)
2020. 9. 16. 19:03
리눅스/Linux
윈도우에서 파일 속성을 확인해보면 읽기 전용, 쓰기 전용 등 권한 속성이 존재한다. 리눅스에서도 파일에 대한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권한의 종류에는 읽기(read), 쓰기(write), 실행(excute) 의 세 가지가 있다. 말 그대로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그럼 리눅스에서 권한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보통 다음과 같은 명령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ls -l // alias 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 ll ls 명령어의 l 옵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alias 등록되어있을 경우 ll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파일 하나의 권한을 확인해보자. 텍스트 파일을 하나 생성해보면 가장 왼쪽에서 어떤 권한이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권한은 총 10개의 문자로 구성되..
Linux Shell Script 생성 및 실행
2020. 9. 8. 19:05
리눅스/Shell script
쉘 스크립트를 어떻게 생성할까? 리눅스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너무나 간단한 내용일 수도 있다. 파일 생성 -> vi 에서 bash shell 선언 -> vi 에서 스크립트 작성 -> 실행 권한 적용 및 스크립트 실행 순으로 간단하게 작성해보았다. 파일 생성 우선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리눅스에서 파일을 생성할 때 cat 명령어를 통해서 생성하기도 하지만 vi 또는 vim 또는 nano 또는 gedit 라는 에디터를 통해서 파일을 생성하기도 한다. 나 같은 경우 간단한 파일들을 cat 이나 touch 명령어를 통해서 생성하기도 하지만 쉘 스크립트를 만들 때 주로 vi 에디터를 사용해서 생성한다. $ vi [원하는이름].sh jaynam:shell_script/ $ vi a.sh 이렇게 원하는 이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