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rtualBox - The VM session was closed before any attempt to power it on
2021. 8. 29. 01:47
시스템/Virtual Machine
가상 머신을 켜니 다음과 같이 세션 에러가 발생하면서 실행이 되지 않았다. 3개 중에 2개까지만 실행되고 나머지 하나는 세션 에러가 났다. 원인으로는 가상 머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아서 그렇다는데 일단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 찾아봤다. VirtualBox 상단 메뉴에서 [머신] - [저장된 상태 삭제] 를 선택하면 된다고 하는데 나는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있는 상태여서 누를 수가 없었다. 다른 분들은 이 방법으로 해결했다고 하는데 이 경우는 하나의 가상 머신을 실행했을 때 세션 에러가 났을 때 해당 사항인 것 같다. 나는 3개의 가상 머신을 동시에 돌려야하기 때문에 세션 에러가 발생한 것 같다. 일단 컴퓨터를 재시작하고 다시 실행해보니 3개가 잘 작동했다. 아무래도 기존에 가상 머신을 껐다 켰다..

[VM] Vagrant 로 VirtualBox 가상 머신 만들기
2021. 8. 19. 18:30
시스템/Virtual Machine
0. 설치 환경 - VirtualBox 버전 6.1.26 - Vagrant 버전 2.2.15 - Vitual Studio Code (Editor) 1. Vagrant 초기화 vagrant 를 구성하기 위해서 따로 폴더 또는 디렉토리를 만들었다. 만든 디렉토리에 가서 vagrant 명령어를 통해 초기 설정을 해준다. [vagrant 명령어 간단 정리] vagrant init : 프로비저닝을 위한 기초 파일 생성 vagrant up : Vagrantfile 을 읽어 들여 프로비저닝 진행 vagrant halt : 베이그런트에서 다루는 가상 머신 종료 vagrant destroy : 베이그런트에서 다루는 가상 머신 삭제 vagrant ssh : 베이그런트에서 다루는 가상 머신 접속 vagrant provisi..

[VM] vagrant up Error - There was an error while executing `VBoxManage`, a CLI used by Vagrantfor controlling VirtualBox. The command and stderr is shown below.
2021. 8. 1. 04:01
시스템/Virtual Machine
vagrant init 을 통해 파일을 생성하고 이미지를 지정하고 vagrant up 을 통해 실행했을 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There was an error while executing `VBoxManage`, a CLI used by Vagrant for controlling VirtualBox. The command and stderr is shown below. Command: ["startvm", "16c092c7-f3f2-495b-8c22-94f4f8456181", "--type", "headless"] Stderr: VBoxManage: error: The virtual machine 'vagrant_test_default_1627757216033_73525' has termina..
배스천 호스트(Bastion Host)
2021. 6. 13. 02:54
시스템/네트워크
배스천 호스트 (Bastion Host) *배스천 호스트란 침입 차단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호스트라고 한다. 다른 의미로는 내부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해 유일하게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호스트를 말한다. 내부 네트워크의 공격에 대한 방어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보안 시스템의 일부라고 한다. 따라서, 보안 대책의 하나로 사용된다. * 배스천(Bastion) 보루, 요새라는 뜻으로 중세 시대에 영주나 왕이 살고 있는 중요한 기지인 성을 둘러싸고 있는 방어막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배스천 호스트를 거쳐야 한다는 뜻이다. 일종의 방화벽, 게이트 역할을 해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보통 강력한 로깅과 모니터링 정책이 구현되어 있다고 하고 접..
스케일 업(Scale Up)과 스케일 아웃(Scale Out)
2021. 5. 31. 18:55
시스템/서버
서버 확장에는 스케일 아웃과 스케일 업 두가지 방식을 사용해서 확장한다. 스케일 업(Scale Up) 스케일 업은 서버의 성능을 증가시키는 방식이다. 수직 스케일이라고도 불린다. 서버의 성능을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CPU, MEMORY, DISK 등 성능이 좋아질 수록 비용이 증가한다. 그리고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하나의 서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대신 하나의 서버를 구축하기 때문에 쉽게 구축할 수 있다. 고성능 *레거시(Legacy) 앱에서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를 생각해보면 된다. * 레거시란? 레거시의 사전적 의미는 '유산' 이라는 의미다. 즉, 오래 유지되어온 것들이라는 것이다. 소스들 중에서 계속해서 사용해 왔던 소스거나 계속 유지되어야 하는 소스..
네트워크 장비(브릿지, 스위치, 라우터)
2020. 10. 28. 21:13
시스템/네트워크
하나의 컴퓨터에서 일정 지역에 도달할 수 있는 신호를 주변 모든 컴퓨터에게 전달한다. 이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범위를 세그먼트(Segment)라고 한다. 하나의 세그먼트는 하나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그래서 세그먼트가 동시에 두개의 신호를 보낼 수 없다. 브릿지 그래서 세그먼트를 분리해주는 브릿지(Bridge) 가 나오게 되었다. 브릿지는 콜리전 도메인(세그먼트)을 분리해 연결해주고 패킷을 전달해준다. 그래서 동일한 세그먼트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해주고 다른 세그먼트로 이동시 전달해준다. 전달 받은 데이터 MAC 주소와 브릿지가 가지고 있는 MAC 주소를 비교해서 MAC 테이블에 있는 주소라고 하면 해당 포트로만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없는 주소라고 하면 송신 포트를 제외하고 모든 포트로 보낸다. 또한..
OSI 7 Layer (OSI 7 계층)
2020. 10. 28. 20:34
시스템/네트워크
OSI 7 Layer (OSI 7 계층)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표현한 것이다. OSI 7계층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계층 계층명 7 계층 (7 Layer) 응용 (Application) 6 계층 (6 Layer) 표현 (Presentation) 5 계층 (5 Layer) 세션 (Session) 4 계층 (4 Layer) 전송 (Transport) 3 계층 (3 Layer) 네트워크 (Network) 2 계층 (2 Layer) 데이터링크 (DataLink) 1 계층 (1 Layer) 물리 (Physical) 7~5 계층을 상위층, 4~1 계층을 하위층이라고 한다. 예전에 정보처리기사를 공부할 때 잠깐 보긴 했었는데 그 때에는 물-..
GPFS
2020. 4. 5. 14:24
시스템/파일 시스템
https://server007.tistory.com/entry/GPFSGeneral-Parallel-File-System-%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GPFS(General Parallel File System) 란 무엇인가?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으로 불리우는 GPFS GPFS는고성능 공유 디스크 파일 시스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서비스 내용 GPFS는 클러스터 환경의 모든 노드에서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고성능 공유 디.. server007.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