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링(Polling) 과 롱 폴링(Long Polling)
2023. 7. 31. 18:44
시스템/네트워크
Polling 이란 폴링이란 주기적으로 문의하여 조건에 맞으면 처리해주는 방식 이라고 한다. 필요한 것이 있는지 물어보고 있으면 처리해주는 방식 또는 주기적으로 상대방을 호출해서 처리할 것이 있는지 확인하여 있으면 처리하는 방식이라고 한다. 그리고 다른 장치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송수신 등의 자료처리를 하는 방식이라고도 한다. 폴링의 목적은 충돌을 회피하고 동기화 처리 등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폴링의 단점은 처리할 것이 없더라도 주기적으로 상대방을 호출해서 처리할 것이 있는지 물어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트래픽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폴링의 문제로는 주기에 대한 문제가 있는데 주기가 짧으면 서버의 성능에 부하를 주게 되고 주기가 길면 실시간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네트워크 CIDR 이해하기
2022. 3. 13. 18:30
시스템/네트워크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네트워크 구성에 대해 이해하기 전에 나는 IP만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러던 중 튀어나온 CIDR 라는 단어였다. aws 에서 vpc나 subnet 을 구성할 때 CIDR 를 IP 뒤에 붙여준다. 예를 들어, 10.0.2.0/24 이렇게,, 여러 블로그나 사이트를 찾아보니 CIDR 에 대해서 이렇게 정의한다.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기법" 보통 우리는 IP 주소를 얘기할 때 클래스라는 것으로 구분해서 사용한다. 그럼 CIDR 는 어떻게 계산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우선 CIDR 는 /16, /24, /32 이렇게 사용한다. IP 주소를 2진수로 된 8비트로 4개의 블록으로 나누개 되면 총 32개의 자릿수가 생긴다. 0000..
네트워크 fat tree 구조
2022. 1. 30. 17:07
시스템/네트워크
네트워크 토폴로지 종류를 찾아보면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전에 정보처리기사를 공부할 때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봤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자격증을 따기 위한 공부였기 때문에 기억이 나지 않았다.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네트워크의 요소들인 링크, 노드 등을 물리적으로 연결해 놓은 것이라고 한다. 간단하게 말해 네트워크의 요소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느냐 ! 라고 이해하면 된다. 그래서 정보처리기사를 공부할 때 나왔던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여러 종류가 나왔었는데 트리형(tree), 성형(star), 버스형(bus), 링형(ring), 망형(mesh) 정도 외운 기억이 난다. 그리고 이번에 패트 트리? 팻트리? Fat tree 라는 네트워크 구조에 대해서 공부했다. 현재 HPC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고 자연스럽게 inf..
배스천 호스트(Bastion Host)
2021. 6. 13. 02:54
시스템/네트워크
배스천 호스트 (Bastion Host) *배스천 호스트란 침입 차단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호스트라고 한다. 다른 의미로는 내부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해 유일하게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호스트를 말한다. 내부 네트워크의 공격에 대한 방어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보안 시스템의 일부라고 한다. 따라서, 보안 대책의 하나로 사용된다. * 배스천(Bastion) 보루, 요새라는 뜻으로 중세 시대에 영주나 왕이 살고 있는 중요한 기지인 성을 둘러싸고 있는 방어막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배스천 호스트를 거쳐야 한다는 뜻이다. 일종의 방화벽, 게이트 역할을 해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보통 강력한 로깅과 모니터링 정책이 구현되어 있다고 하고 접..
네트워크 장비(브릿지, 스위치, 라우터)
2020. 10. 28. 21:13
시스템/네트워크
하나의 컴퓨터에서 일정 지역에 도달할 수 있는 신호를 주변 모든 컴퓨터에게 전달한다. 이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범위를 세그먼트(Segment)라고 한다. 하나의 세그먼트는 하나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그래서 세그먼트가 동시에 두개의 신호를 보낼 수 없다. 브릿지 그래서 세그먼트를 분리해주는 브릿지(Bridge) 가 나오게 되었다. 브릿지는 콜리전 도메인(세그먼트)을 분리해 연결해주고 패킷을 전달해준다. 그래서 동일한 세그먼트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해주고 다른 세그먼트로 이동시 전달해준다. 전달 받은 데이터 MAC 주소와 브릿지가 가지고 있는 MAC 주소를 비교해서 MAC 테이블에 있는 주소라고 하면 해당 포트로만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없는 주소라고 하면 송신 포트를 제외하고 모든 포트로 보낸다. 또한..
OSI 7 Layer (OSI 7 계층)
2020. 10. 28. 20:34
시스템/네트워크
OSI 7 Layer (OSI 7 계층)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표현한 것이다. OSI 7계층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계층 계층명 7 계층 (7 Layer) 응용 (Application) 6 계층 (6 Layer) 표현 (Presentation) 5 계층 (5 Layer) 세션 (Session) 4 계층 (4 Layer) 전송 (Transport) 3 계층 (3 Layer) 네트워크 (Network) 2 계층 (2 Layer) 데이터링크 (DataLink) 1 계층 (1 Layer) 물리 (Physical) 7~5 계층을 상위층, 4~1 계층을 하위층이라고 한다. 예전에 정보처리기사를 공부할 때 잠깐 보긴 했었는데 그 때에는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