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네트워크 구성에 대해 이해하기 전에 나는 IP만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러던 중 튀어나온 CIDR 라는 단어였다.
aws 에서 vpc나 subnet 을 구성할 때 CIDR 를 IP 뒤에 붙여준다.
예를 들어,
10.0.2.0/24
이렇게,,
여러 블로그나 사이트를 찾아보니 CIDR 에 대해서 이렇게 정의한다.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기법"
보통 우리는 IP 주소를 얘기할 때 클래스라는 것으로 구분해서 사용한다.
그럼 CIDR 는 어떻게 계산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우선 CIDR 는 /16, /24, /32 이렇게 사용한다.
IP 주소를 2진수로 된 8비트로 4개의 블록으로 나누개 되면 총 32개의 자릿수가 생긴다.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16 은 16번째 자릿수까지 같은 IP 주소의 CIDR 그룹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24 는 24번째 자릿수까지 같은 IP 주소의 CIDR 그룹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32 는 32번째 자릿수까지 같은 IP 주소의 CIDR 그룹 -> 고정 IP 라고 생각하면 된다.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이렇게만 보면 잘 이해가 되지 않아 CIDR 에 대해서 예를 들어서 정리해봤다.
IP 주소가 10.0.1.0/16 이라고 하면 풀어썼을 때
여기서 CIDR 블록이 /16 이라고 한다면 앞에서부터 16번째까지 IP 주소가 같은 CIDR 그룹을 만든다.
00001010 . 00000000 . 00000001 . 00000000
그럼 10.0.1.0/16 의 CIDR 그룹에는 10.0.0.0 부터 10.0.255.255 가 된다.
10.1.0.0 은 16번째 자리의 값이 다르기 때문에 CIDR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다.
00001010 . 00000001 . 00000001 . 00000000 (x)
또 다른 예를 들어 IP 주소가 10.0.1.0/24 라고 했을 때
00001010 . 00000000 . 00000001 . 00000000
이렇게 CIDR 그룹이 생성된다.
따라서 생성 가능한 IP 주소는 10.0.1.0 ~ 10.0.1.255 가 되므로 256개의 IP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만 보면 /24 의 CIDR 그룹이 C 클래스와 같은 것처럼 보이지만 엄연히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고 넘어가야 한다.
아래의 블로그에서 정말 자세하게 설명해줘서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기존에는 CIDR 가 왜 필요하고 왜 사용하는지 잘 몰랐었는데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었다.
막상 이해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하니 잘 정리가 되지 않은 것 같다 ㅠㅠ
- 참고 사이트 -
https://www.nakjunizm.com/2020/01/29/Cidr/
'시스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링(Polling) 과 롱 폴링(Long Polling) (0) | 2023.07.31 |
---|---|
네트워크 fat tree 구조 (0) | 2022.01.30 |
배스천 호스트(Bastion Host) (0) | 2021.06.13 |
네트워크 장비(브릿지, 스위치, 라우터) (2) | 2020.10.28 |
OSI 7 Layer (OSI 7 계층) (0) | 2020.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