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번에 minikube 로도 들어봤고, vagrant 를 통해서도 만들어보았다.
이번에는 로컬 환경에서 k3d 를 사용해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k3d 는 아래의 사이트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k3d
Overview What is k3d? k3d is a lightweight wrapper to run k3s (Rancher Lab’s minimal Kubernetes distribution) in docker. k3d makes it very easy to create single- and multi-node k3s clusters in docker, e.g. for local development on Kubernetes. Note: k3d i
k3d.io
1. k3d 설치하기
brew install k3d

설치 완료!
2. k3d 클러스터 생성하기
이제 k3d 를 통해 클러스터를 만들어보자.
k3d cluster create kube-cluster -p "38080:80@loadbalancer" --agents 3
요렇게 agent 를 3개 추가해서 클러스터를 만들어준다.

그리고 kubectl 을 통해 잘 설치가 되어있는지 확인해본다.

잘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간단하게 클러스터를 만들어볼 수 있다!
- 참고 사이트
https://www.humphreyahn.dev/blog/my-own-airflow-cluster
나만의 Airflow 클러스터 만들기 (feat. k3d)
데이터 엔지니어로 커리어를 이어가면서, 가장 많은 시간을 들였고 가장 많은 관련 코드를 작성했지만 아직까지도 많이 부족한 국룰 워크플로우 관리 도구, Airflow!
www.humphreyahn.dev
'DevOps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nikube dashboard "SVC_URL_TIMEOUT" Error (0) | 2022.11.22 |
---|---|
minikube 명령어 정리 (0) | 2022.11.22 |
minikube 로 kubernetes 구성해보기 (MacOS) (0) | 2022.11.22 |
14. Vagrant 가상 머신을 통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만들기 - 끝! (0) | 2021.12.02 |
13.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노드 설정을 위한 스크립트 작성 및 적용 (0) | 2021.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