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기사 필기 - 정보보안 관리 및 법규
2020. 3. 9. 03:45
자격증/정보보안기사
[Ctrl + F 통해서 검색] ※ 정보보안기사 필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개인적으로 기출문제 위주의 용어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중요도가 높거나 시험에 많이 출제되는 내용은 주황색으로 표시했습니다. 정보보호 관리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설명 Access 자산분류, 인력확보, 정보시스템 환경분석 위험, 취약점, 위험분석 Protect 보안 정책 수립,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체계 수립 보안 감사 활동의 강화 Validate 전 사원의 보안 교육 실시 정기적 보안 점검으로 지속적인 보안 관리 수행 Train 보안 전담 인력양성 새로운 해킹 방법에 대한 대응 보안 사고 대응 능력 배양 Monitor 지속적, 통합적 보안 체계 수립 효과적 보안 예산 집행 통합 보안 관계 시스템 구축 정보통신망법 제 26조(배상..
정보보안기사 필기 - 정보보안 일반
2020. 3. 8. 08:10
자격증/정보보안기사
[Ctrl + F 통해서 검색] ※ 정보보안기사 필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개인적으로 기출문제 위주의 용어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중요도가 높거나 시험에 많이 출제되는 내용은 주황색으로 표시했습니다. 정보보호 목표 - 기밀성(Confidentiality) : 정보가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것 - 무결성(Integrity) : 정보가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악의적 또는 비악의적인 접근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것 - 가용성(Availability) : 인가된 사용자가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또는 지원을 필요로 할때 원하는 객체 또는 자원에 접근하고 사용할수 있는 것 패스워드 정책 | Password Policy 최소 8문자 이상으로 조합하여 구성(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책임 추적성 성립이 어려워 ..
정보보안기사 필기 - 애플리케이션 보안
2020. 3. 3. 00:00
자격증/정보보안기사
[Ctrl + F 통해서 검색] ※ 정보보안기사 필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개인적으로 기출문제 위주의 용어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중요도가 높거나 시험에 많이 출제되는 내용은 주황색으로 표시했습니다. HTTP 메소드 | HTTP Method GET : 서버의 지정한 URI에 위치한 정보 요청 HEAD : 헤더 정보만 요청 , 문서가 아닌 서버의 정보만 필요한 경우 사용 POST : 데이터를 메시지 바디에 포함하여 입출력 스트림을 통해 처리 , GET과 달리 데이터 크기에 제한 없음 OPTIONS : 통신과 관련하여 선택 가능한 사항들에 대한 요청 PUT :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지정한 URI에 저장 DELETE : URI에 지정되어 있는 자원을 서버에서 제거 LINK : 헤더 정보가 서버 내의 문..
정보보안기사 필기 - 네트워크 보안
2020. 3. 2. 23:15
자격증/정보보안기사
[Ctrl + F 통해서 검색] ※ 정보보안기사 필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개인적으로 기출문제 위주의 용어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중요도가 높거나 시험에 많이 출제되는 내용은 주황색으로 표시했습니다.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신뢰성 있는 연결 지향 세그먼트에 순번을 지정하여 데이터의 순서 유지 3-Way Handshaking 을 통해 연결 / 4-Way Handshaking을 통해 연결 종료 Error Control 을 위해서 Check sum , Go Back-N 기법 사용 [플래그] SYN : TCP Connection의 최초 접속 시 연결을 요구하는 플래그 ACK : 응답 확인 플래그 PSH : 데이터를 버퍼링하지 않고 즉석에서 수신자에게 송신하는 것을 요구하는 ..
정보보안기사 필기 - 시스템 보안
2020. 3. 2. 21:47
자격증/정보보안기사
[Ctrl + F 통해서 검색] ※ 정보보안기사 필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개인적으로 기출문제 위주의 용어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중요도가 높거나 시험에 많이 출제되는 내용은 주황색으로 표시했습니다. 윈도우 레지스트리로 얻을 수 있는 정보 - 컴퓨터에 설치된 모든 하드웨어 장치에 대한 정보 및 사용하는 리소스 - 윈도우가 시작할 때 읽어들인 장치 드라이브 목록 - 윈도우 내부 설정 - 특정 형식의 파일을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연결시키는 파일 연결 데이터 - 배경, 화면 배색 등 인터페이스 설정 - 인터넷과 네트워크 설정 및 암호 - 타사 응용 소프트웨어 설정 사항 inode | 아이노드 리눅스 커널이 현재 사용하는 자료구조를 유지하는 구조체 리눅스는 파일에 접근 시 아이노드를 통해서 파일을 참조 유닉스 파일..
[백준 알고리즘] 9020번 : 골드바흐의 추측
2020. 2. 24. 21:23
알고리즘/BaekJoon
문제 9020번 : 골드바흐의 추측 9020번: 골드바흐의 추측 문제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약수가 없는 자연수를 소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5는 1과 5를 제외한 약수가 없기 때문에 소수이다. 하지만, 6은 6 = 2 × 3 이기 때문에 소수가 아니다. 골드바흐의 추측은 유명한 정수론의 미해결 문제로,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를 골드바흐 수라고 한다. 또, 짝수를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표현을 그 수의 골드바흐 파티션이라고 한다. www.acmicpc.net 내가 작성한 코드(C++ 성공)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cin.tie(0); int T, N; int h, ..
리눅스에서 df 용량과 du 용량이 다를 경우
2019. 10. 3. 19:31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할 때 df 명령어로 확인했을 때 용량이 컸는데 du 명령어로 확인하니까 용량이 작았다. 파일을 삭제했는데 df에 반영이 되지 않은 것이다. 예를 들어, /var 용량의 경우 df 명령어로 확인했을 때 사용중인 공간이 31G 였다고 하면 du 명령어로 확인해보니 사용중인 공간이 10G 밖에 되지 않는다. 이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보통 시스템을 오래 켜 둔 상태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그 이유는 특정 프로세스가 file descriptor 를 연 후에 file descriptor 가 가리키는 파일을 지웠는데 그 프로세스가 여전히 파일을 읽고 쓰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lsof 명령어를 통해 문제가 있는 프로세스를 찾을 수 있다. 우선, 문제가 있는 디렉토리의 열린 파일 목록을 ..
리눅스 오픈 가능한 파일 갯수 제한 확인하기
2019. 10. 3. 19:18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오픈 가능한 파일의 갯수가 정해져있다. 오픈 가능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수가 정해진 값을 초과하게 되면 시스템에서 더 이상 파일을 열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시스템에 부하가 발생했을 때 다른 부분에서 원인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오픈 파일 갯수도 체크할 필요가 있다. 오픈 파일 갯수를 확인은 아래와 같이 할 수 있다. # cat /proc/sys/fs/file-nr : 오픈 파일 수와 최대 오픈 파일 수 확인 # cat /proc/sys/fs/file-max : 최대 오픈 파일 수 확인 오픈된 파일의 수 / 오픈되지 않은 파일의 수 / 최대 오픈 파일의 수(file-max) file-nr 을 통해서 오픈된 파일의 수와 최대 오픈 파일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