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6fLK%2FbtqSPGPWrGl%2F1kXXzhrCEalmVngtVSBpk0%2Fimg.png)
부스트코스(Boostcourse) 코칭스터디 CS50 2기 부스터 지원 결과 발표 😆
2021. 1. 7. 18:41
스터디&교육/부스트코스 CS50 2기
지난 12월 19일에 부스트코스에서 지원하는 코칭스터디 CS50에 지원했다.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지원했던 것 같아보였고 어제 1월 6일 결과가 발표되었다. 어제 일이 많아 늦게 확인했더니, 따란 !! 이렇게 메일이 왔다 ! 합격 !!! 😏👍 그리고 메일에 4가지 안내사항들이 추가로 적혀있었다. 스터디를 시작하기 전 .부스트코스 코칭스터디 CS50 2기 지원 일정은 아래와 같다. 1월 6일 결과 발표 이후 1월 8일 오리엔테이션 강의를 볼 수 있고 1월 11일 스터디를 시작하게 된다. 어떤 것들을 공부하게 되는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같은 조가 된 분들과 함께 미션을 진행하게 되고 공부를 같이하게 된다. 같이 공부할 수 있다는 점이 너무 좋고 어떤 재밌는 것들을 배울 지 너무 기대된다. 😆 나..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gRij%2FbtqQDGrFQ6t%2FY2kaNuwKEdK9C9zWJq3BKk%2Fimg.png)
맥북(MacOS) Big Sur(빅 서) 배터리 퍼센트 표시
2020. 12. 20. 02:21
기타/MacOS
맥북을 빅서로 업데이트하고 나서 배터리 퍼센트가 사라져서 어디있는지 못 찾아서 오늘 찾았다! 이전 카날리나 버전의 경우 [시스템 환경설정] - [배터리] 에서 퍼센트를 추가할 수 있었는데 빅서로 업데이트하고 나서 사라졌다. 이제 빅서에서는 [시스템 환경설정] - [Dock 및 메뉴 막대] 에서 [퍼센트 보기] 를 설정할 수 있다 !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1R3s1%2FbtqQPzKG9NY%2FKJltbdtS5Etawht9UC99JK%2Fimg.png)
부스트코스(Boostcourse) 코칭스터디 CS50 2기 부스터 지원
2020. 12. 19. 23:22
스터디&교육/부스트코스 CS50 2기
부스트 코스에서 무료로 CS50 강의라는 컴퓨터 과학에 대해서 스터디 2기를 진행한다고 한다. 스터디 모집 기간은 20년 12월 17일 부터 20년 12월 31일 까지 이다. 참가 신청 후 스터디를 진행하게 된다면 21년 1월 11일 부터 21년 2월 26일 까지 하게 된다. 정말 겨울 방학이기도하고 컴퓨터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들이 들으면 좋은 스터디라고 생각한다. 스터디에 대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에 자세히 나와있다. 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116615&memberNo=34635212 [무료스터디] 결심을 현실로 만들 시간 [BY 부스트코스] 모든 활동이 자제되는 비대면 시대. 하지만 성장을 멈출 수는 없는 세대. 특히나 IT... m.post...
nodejs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기
2020. 12. 17. 00:15
개발/NodeJS
yum 을 통해 nodejs 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싶은데 되지 않는다. root@dev-server:~/workspace/nodejs/messageApp # node --version v6.17.1 계속해서 업그레이드를 시도했지만 버전은 그래도였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npm n package 를 사용해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었다. // 캐시 정리 sudo npm cache clean -f // n 패키지 설치 sudo npm install -g n // n 패키지를 통해 안정적인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sudo n stable 원하는 버전이 있다면 해당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거나 다운그레이드 할 수 있다. // 원하는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또는 다운그레이드 sudo n 0.8...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Tv6vg%2FbtqQssZZvkw%2FR0j6tKrKu8uyRkJgorHSO1%2Fimg.png)
Install Docker Engine on CentOS7 (centos7 도커 설치)
2020. 12. 16. 19:28
DevOps/Docker
이번에는 centos 7 리눅스 서버에서 도커를 설치해보고 설치 내용을 정리해두려고 한다. 나는 저장소를 통해 도커 메뉴얼에 따라 도커를 설치하려고 한다.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인 도커를 자동으로 설치해주는 스크립트를 통해 쉽게 설치할 수 있다. $ 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udo sh Docker는 get.docker.com 및 test.docker.com 에서 빠르고 비대화식으로 설치하기위한 편리한 스크립트를 제공해준다. 하지만 이런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것은 프로덕션 환경에는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하기 전 설치 환경을 확인해야한다. 도커에서는 스크립트를 통해 설치하기 전 주의 사항을 말해주고 있다. 기본적으로 root 권한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root 가..
centos7 yum update error - [Errno 14] HTTP Error 404 - Not Found
2020. 12. 16. 19:13
리눅스/Linux
centos7 에서 yum update 를 실행했을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yum update 실행 결과 에러 발생 [root@dev-server ~]# yum update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langpacks Loading mirror speeds from cached hostfile * base: ftp-srv2.kddilabs.jp * epel: nrt.edge.kernel.org * extras: ftp-srv2.kddilabs.jp * updates: ftp-srv2.kddilabs.jp http://ftp.kaist.ac.kr/CentOS/7.8.2003/os/x86_64/repodata/repomd.xml: [Errno 14] HTTP Error..
맥북(MacOS) 터미널 느릴 때 속도 문제 해결 방법
2020. 12. 14. 01:03
기타/MacOS
맥북에서 터미널을 많이 사용하다보면 반응이 느려진다고 한다. 나도 터미널에서 입력할 때 반응이 느려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그래서 찾은 방법이 asl 로그 파일을 지워주는 것이다. asl 로그 파일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 cd /private/var/log/asl 해당 위치로 이동해서 확인해보면 .asl 로그 파일이 쌓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l 확장자인 로그 파일을 지워주면 된다. sudo rm -rf *.asl 이렇게 하고나니 터미널의 속도가 다시 빨라졌다.
리눅스 하드 링크(hard link)와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2020. 12. 14. 00:34
리눅스/Linux
하드 링크 (hard link) 원본 파일과 동일한 inode 를 가진다. 따라서, 원본 파일이 삭제 되더라도 원본 파일의 inode 를 갖고 있는 링크 파일은 사용이 가능하다. 사실 같은 inode 를 가리키는 파일이기 때문에 이름만 다를 뿐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inode ? 파일 시스템 내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는 고유한 inode를 가지고 있다. inode는 파일의 소유권, 권한, 파일 내용이 들어있는 물리 주소, 링크 수, 형태, 크기, 시간 등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파일을 생성해보자. $ ls -li total 8 9395905 -rw-r--r-- 1 jaynam staff 15 12 13 23:46 A inode의 값은 ls 명령어의 -i 옵션으로 확인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