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uniq 명령어
2020. 11. 9. 20:43
리눅스/Command
uinq 명령어 중복된 내용의 행이 연속으로 있으면 중복없이 하나의 행으로 만들어주는 명령어다. sort 명령어와 주로 사용한다. uinq [-c | -d | -u] [-i] [-f num] [-s chars] [input file [output file]] [옵션] -c : 각 출력 행 앞에 입력에서 중복된 행의 횟수를 출력 -d : 입력에서 중복된 행만 출력 -f num : 비교할 때 지정된 수 만큼 비교 대상에서 제외 -s chars : 하나의 행에서 지정된 수 만큼 문자를 비교대상에서 제외 -u : 원래 파일에서 연속으로 중복되지 않는 행만 출력 -i : 비교할 때 대소문자 구분 안함 uniq 명령어 옵션 사용 다음과 같이 중복된 파일을 하나 만들어보았다. $ cat uniq1.txt apple ..
리눅스 sort 명령어
2020. 11. 4. 17:37
리눅스/Command
sort 명령어 사용자가 지정한 파일의 내용을 정렬하거나 정렬된 파일의 내용을 병합할 때 사용한다. # sort [옵션] ... [파일명] ... [자주 사용하는 옵션] -r, --reverse : 역순으로 정렬한다. -k, --key=POS1 : 정해진 필드를 기준으로 정렬한다. ex) sort -k2 : 2번째 필드로 정렬 -u, --unique : 정렬 후 중복된 내용을 제거한다. -t, --field-separator=SEP : 필드 구분자를 지정, -k 옵션으로 필드를 지정해서 사용할 때 좋다. -f, --ignore-case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정렬한다. sort 명령어 옵션 사용 기본적으로 명령어를 사용하면 결과는 다음과 같다. // sort 명령어를 사용할 텍스트 파일 # cat ..
리눅스 hostname 변경하기 (centos7)
2020. 10. 12. 16:00
리눅스/Linux
hostname 이란 말 그대로 서버 이름을 말한다. 서버가 여러 개일 경우 헷갈리기 때문에 각 서버의 이름을 따로 정해주어 사용하는게 좋다. 지금 내 hostname 을 확인해보면 root 는 사용자 계정이고 localhost 는 서버의 이름이다. 즉, root 계정으로 localhost 계정으로 접속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버 이름은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다. 1. /etc/hostname 을 확인한다. 2. /etc/hostname 안의 내용을 vi 에디터를 이용해 바꿔준다. localhost.localdomain 을 dev-server 라고 바꿔주었다. 3. 변경된 내용 확인 4. 변경된 hostname 을 적용한다. 5. 재접속 후 변경된 서버 이름 확인 추가적으로, 더 쉬운 방법이 있었다..
리눅스가 설치된 노트북 덮개를 덮어도 안 꺼지는 방법 (CentOS 7)
2020. 9. 25. 13:12
리눅스/Linux
/etc/systemd/logind.conf 설정 파일을 확인해보면 HandleLidSwitch=suspend 부분을 찾을 수 있다. suspend 의 값을 ignore 로 변경해준다. // 변경할 설정파일 vi 편집기로 열기 # vi /etc/systemd/logind.conf // HandleLidSwitch 설정 값 변경 후 저장 HandleLidSwitch=suspend -> ignore 그리고 systemd-logind 서비스 재시작 ! #systemctl restart systemd-logind 그리고 노트북을 덮고나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본다. CentOS 뿐 만 아니라 우분투도 가능하다. - 참고 사이트 - road-fire.tistory.com/entry/CentOS-7-%EB%85%B8..
[Shell Script] 문자 / 배경 색상 변경하기
2020. 9. 23. 21:14
리눅스/Shell script
리눅스에서 출력할 때 문자 또는 배경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리눅스에서 문자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print , printf 그리고 echo 가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print 와 echo 는 자동으로 줄바꿈을 해주고 printf 는 개행문자(\n)를 넣어주어야 줄바꿈이 된다. 그럼 문자 또는 배경에 색상을 넣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위와 같이 ANSI esacape code 에서 제공해주는 Colors Code 인 FG(ForeGround) 코드와 BG(BackGround) 코드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방법은 일단 예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제를 보면 print, printf 와 달리 echo 는 -e 옵션을 통해 문자나 배경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033[ : ANSI e..
리눅스 파일 권한 (Permission)
2020. 9. 16. 19:03
리눅스/Linux
윈도우에서 파일 속성을 확인해보면 읽기 전용, 쓰기 전용 등 권한 속성이 존재한다. 리눅스에서도 파일에 대한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권한의 종류에는 읽기(read), 쓰기(write), 실행(excute) 의 세 가지가 있다. 말 그대로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그럼 리눅스에서 권한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보통 다음과 같은 명령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ls -l // alias 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 ll ls 명령어의 l 옵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alias 등록되어있을 경우 ll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파일 하나의 권한을 확인해보자. 텍스트 파일을 하나 생성해보면 가장 왼쪽에서 어떤 권한이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권한은 총 10개의 문자로 구성되..
Linux Shell Script 생성 및 실행
2020. 9. 8. 19:05
리눅스/Shell script
쉘 스크립트를 어떻게 생성할까? 리눅스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너무나 간단한 내용일 수도 있다. 파일 생성 -> vi 에서 bash shell 선언 -> vi 에서 스크립트 작성 -> 실행 권한 적용 및 스크립트 실행 순으로 간단하게 작성해보았다. 파일 생성 우선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리눅스에서 파일을 생성할 때 cat 명령어를 통해서 생성하기도 하지만 vi 또는 vim 또는 nano 또는 gedit 라는 에디터를 통해서 파일을 생성하기도 한다. 나 같은 경우 간단한 파일들을 cat 이나 touch 명령어를 통해서 생성하기도 하지만 쉘 스크립트를 만들 때 주로 vi 에디터를 사용해서 생성한다. $ vi [원하는이름].sh jaynam:shell_script/ $ vi a.sh 이렇게 원하는 이름으로..
리눅스에서 df 용량과 du 용량이 다를 경우
2019. 10. 3. 19:31
리눅스/Linux
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할 때 df 명령어로 확인했을 때 용량이 컸는데 du 명령어로 확인하니까 용량이 작았다. 파일을 삭제했는데 df에 반영이 되지 않은 것이다. 예를 들어, /var 용량의 경우 df 명령어로 확인했을 때 사용중인 공간이 31G 였다고 하면 du 명령어로 확인해보니 사용중인 공간이 10G 밖에 되지 않는다. 이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보통 시스템을 오래 켜 둔 상태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그 이유는 특정 프로세스가 file descriptor 를 연 후에 file descriptor 가 가리키는 파일을 지웠는데 그 프로세스가 여전히 파일을 읽고 쓰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lsof 명령어를 통해 문제가 있는 프로세스를 찾을 수 있다. 우선, 문제가 있는 디렉토리의 열린 파일 목록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