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Vagrant 가상 머신을 통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생성해보기 (시작하기 전 잡담)
2021. 10. 15. 17:02
DevOps/kubernetes
VirtualBox 가상 머신을 통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씩 설정해가며 만들어보았다. 가상 머신을 만들기 전에 CPU, 메모리 등 서버 자원을 설정해주었고 가상 머신을 만들고 나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만들기 위한 리소스들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필요한 부분들을 설정해주어 클러스터가 잘 작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었다. 그렇게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 2개를 만들었고 kubeadm 을 통해 나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라는 것을 구축해보았는데 생각보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안 되는 부분을 하나씩 찾아가며 해봤기 때문에 쿠버네티스와 조금 더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물론 모르는 부분도 정말 많았고 알아야하는 부분도 그냥 건너뛴 것도 정말 많다. 그렇기 때문에 공부해야할..
6.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워커 노드 설정하기
2021. 8. 29. 03:26
DevOps/kubernetes
마스터 노드를 설정했으니 이제 워커 노드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쿠버네티스 워커 노드 설정 요약 정리 1. 쿠버네티스 실행 systemctl enable --now kubelet 2. kubeadm 마스터 노드 연결 kubeadm join 10.0.2.10:6443 --token [token] \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 hash] 3. 마스터 노드에서 연결된 워커 노드 확인 kubectl get nodes 1. 쿠버네티스 실행 마스터 노드와 마찬가지로 쿠버네티스를 실행시켜줘야 한다. [root@k8s-worker1 ~]# systemctl enable --now kubelet Created symlink from /etc/systemd/system/multi-..
0.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테스트 환경 구축해보기
2021. 8. 28. 20:15
DevOps/kubernetes
혼자서 쿠버네티스 테스트 환경을 만들어보려고 한다. 마스터 노드 1개와 워커 노드 2개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할 예정이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하기에 앞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몇 가지 필요한 것들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했다. 1. VirtualBox + 이후 Vagrant 사용 일단 현재 window 환경이기 때문에 가상 머신을 통해 노드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나는 나중에 vagrant 를 사용해서 3가지 노드들을 한번에 다룰 예정이라 VirtualBox 를 사용하기로 했다. 그래서 VirtualBox 와 Vagrant를 설치했다. - VirtualBox 다운로드 https://www.virtualbox.org/ - Vagrant 다운로드 https://www.vagrantu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