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hostname 변경하기 (centos7)
2020. 10. 12. 16:00
리눅스/Linux
hostname 이란 말 그대로 서버 이름을 말한다. 서버가 여러 개일 경우 헷갈리기 때문에 각 서버의 이름을 따로 정해주어 사용하는게 좋다. 지금 내 hostname 을 확인해보면 root 는 사용자 계정이고 localhost 는 서버의 이름이다. 즉, root 계정으로 localhost 계정으로 접속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버 이름은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다. 1. /etc/hostname 을 확인한다. 2. /etc/hostname 안의 내용을 vi 에디터를 이용해 바꿔준다. localhost.localdomain 을 dev-server 라고 바꿔주었다. 3. 변경된 내용 확인 4. 변경된 hostname 을 적용한다. 5. 재접속 후 변경된 서버 이름 확인 추가적으로, 더 쉬운 방법이 있었다..
리눅스가 설치된 노트북 덮개를 덮어도 안 꺼지는 방법 (CentOS 7)
2020. 9. 25. 13:12
리눅스/Linux
/etc/systemd/logind.conf 설정 파일을 확인해보면 HandleLidSwitch=suspend 부분을 찾을 수 있다. suspend 의 값을 ignore 로 변경해준다. // 변경할 설정파일 vi 편집기로 열기 # vi /etc/systemd/logind.conf // HandleLidSwitch 설정 값 변경 후 저장 HandleLidSwitch=suspend -> ignore 그리고 systemd-logind 서비스 재시작 ! #systemctl restart systemd-logind 그리고 노트북을 덮고나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본다. CentOS 뿐 만 아니라 우분투도 가능하다. - 참고 사이트 - road-fire.tistory.com/entry/CentOS-7-%EB%85%B8..